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바비 미지급 신고 방법, 당황하지 말고 이렇게 하세요

by gomago 2025. 4. 12.
반응형

알바비-미지급-신고
계약서 없이 알바비 미지급 신고방법

 

알바비를 받지 못했다면 신고 가능합니다. 계약서 없이 일했더라도 지급받을 수 있는 법적 절차,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당황스럽고 억울했던 순간, 저도 겪었습니다

"돈 받고 일한 게 아니고, 그냥 공짜로 일한 기분이었습니다."
이런 생각, 아마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도 해보셨을 겁니다. 저 역시 처음 알바비를 못 받았을 땐 너무 당황스러웠고, '이걸 어디에 말해야 하지?' 싶은 막막함뿐이었습니다.

 

특히 지각했다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해고된 상황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못한 건가 싶어 입을 다물게 되죠. 하지만 명확하게 말씀드리자면, 임금은 무조건 지급받을 권리입니다.

계약서가 없다고 포기하진 마세요

계약서를 쓰지 않았다고 해서 돈을 못 받는 건 아닙니다.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상, 단 하루를 일했더라도 ‘근로사실’이 입증되면 임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그럼 어떻게 입증할 수 있을까요?

▷ 알바 근무사실 입증 방법

  • 출퇴근 시간 기록 (카톡, 문자, 버스카드 기록 등)
  • 알바모집 글 스크린샷 (ex. 당근마켓 캡처)
  • 사장님과의 문자/카톡 내용
  • 같이 일했던 직원의 진술

그땐 그냥 넘겼지만, 지금 생각하면 너무 억울했습니다

비슷한 경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꼭 확인 하셔야 합니다.


그땐 그냥 넘겼지만, 지금 생각하면 너무 억울했더라고요.

알바비 미지급 신고 절차는 이렇게 합니다

처음 하시는 분들도 따라하기 쉽게 정리해봤습니다.

1. 고용노동부 '임금체불 진정' 접수

2. ‘진정서’ 작성 시 필요한 내용

  • 사업장명 (김밥 체인 이름)
  • 사장님 성함 및 연락처
  • 근무기간 및 시급
  • 근무 내역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총 몇 일 근무)
  • 미지급 금액

3. 노동부 출석 → 조사 후 지급명령 or 형사처벌

고용노동부에서 사장님께 연락을 하게 되고, 임금체불이 인정되면 지급명령 + 형사처벌이 병행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의성이 있다면 벌금형까지도 나올 수 있어요.

 

막상 신고하려니까 어떤 서류를 내야 할지도 몰랐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실제로 도움됐다는 사례도 적지 않더라고요.


막상 신고하려 하니까 어떤 서류를 내야 할지도 몰라서 멈칫했었습니다.

신고 전, 이것만은 꼭 체크하세요

  • 진정서 접수 전에 자료 모으기: 증거자료는 많을수록 좋습니다.
  • 동일 사례 검색하기: 나와 비슷한 상황에서 어떻게 처리됐는지 참고하세요.
  • 고용노동부 상담 먼저 받아보기: 1350 전화 (무료)

▶︎ TIP: 2개월 후 입금 약속은 ‘근로계약’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사장님이 “두 달 뒤에 입금된다”고 말했다면, 이는 단순 구두 합의가 아닌 근로계약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즉, 그 말 자체가 근로를 인정한 증거가 됩니다.

 

이런 경우,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해결 방법이 따로 있더라고요.


그냥 넘기기엔 찜찜한 기억이 자꾸 떠올랐습니다. 누군가는 지금도 같은 피해를 보고 있을지도 모르죠.

결론: 혼자 참지 말고, 정당하게 권리 찾으세요

나 하나쯤은… 하는 생각으로 넘기면, 다음 피해자는 또 생깁니다.
알바라도, 단 3일이라도, 약속된 임금은 당연히 받아야 할 권리입니다.

"이런 걸로 신고까지 해도 되나?"
이 질문에 저는 이제 확실히 말할 수 있습니다.
네, 신고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바뀝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