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마을금고 예탁금 vs 자유재정예금 차이? 헷갈리는 분들을 위한 정리

by gomago 2025. 4. 10.
반응형

새마을금고-예탁금-자유적금-차이
새마을금고 예탁금과 자유재정예금의 차이점.

 

새마을금고 예탁금과 자유재정예금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합니다.  
예금 구조, 금리 차이, 어떤 상황에 어떤 상품이 유리한지까지 정리했습니다.

“두 상품 다 예금이라는데, 뭐가 다른 건가요?”

새마을금고를 이용하다 보면 창구 직원에게
“예탁금으로 하실 건가요, 자유재정예금으로 하실 건가요?”
라는 말을 듣고 순간 멈칫하게 됩니다.

분명 다 예금인 것 같은데, 이름도 비슷하고…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

예탁금과 자유재정예금은 완전히 다릅니다.
상품 목적도 다르고, 이자 계산 방식도 다르며, 심지어 세금 처리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1. 예탁금이란?

예탁금은 쉽게 말하면 새마을금고 전용 ‘입출금 통장’입니다.
우리가 보통 은행에서 쓰는 보통예금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 입출금 자유
  • 이자 거의 없음 (0.1~0.3%)
  • 급여이체, 자동이체, 공과금 납부 등에 사용

즉, 생활비를 쓰거나 공과금을 내는 등 일상적인 계좌로 쓰는 돈이 예탁금입니다.


“여기서 잘못 선택하면 이자 차이가 수십만 원 날 수도 있습니다.”

 

2. 자유재정예금이란?

자유재정예금은 말 그대로 내가 원하는 금액을 자유롭게 넣는 예금입니다.
보통 ‘자유적금’과 헷갈리기도 하지만, 이건 적금이 아니라 예금입니다.

  • 원하는 때 원하는 금액만큼 입금 가능
  • 예치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자 발생
  • 가입 기간은 정해져 있고, 중도 해지도 가능
  • 정기예금보단 유연하지만, 예탁금보단 금리 높음

주로 여유 자금을 잠깐 예치할 때 많이 사용되며,
단기 자금 운용에 적합합니다.

 

3. 예탁금 vs 자유재정예금 한눈에 비교

항목 예탁금 자유재정예금
금리 매우 낮음 (0.1~0.3%) 중간 수준 (1~2%대 가능)
입출금 자유 제한적 (중도 해지 가능)
목적 생활비용 통장 여유자금 운용
이자 지급 거의 없음 월 단위 혹은 만기 지급
세금 혜택 없음 일부 비과세 가능 (조건부)


“이 표를 보고 바로 통장 구조를 바꾸셨다는 분도 있었습니다.”

 

4. 언제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

예탁금이 유리한 경우

  • 공과금, 생활비 입출금용
  • 급여통장 지정 계좌
  • 수시 입출금이 필요한 경우

자유재정예금이 유리한 경우

  • 몇 달 단위의 여유 자금 운용
  • 정기예금 만기는 부담되지만, 예치 이자를 받고 싶을 때
  • 중도 해지가 예상되는 경우

특히 금리 높은 자유재정예금은 간단한 목돈 굴리기에 아주 유용합니다.


“이걸 모르고 그냥 예탁금에 넣었다가 이자 하나 못 받았다는 분도 계십니다.”

 

5. 창구에서 놓치기 쉬운 포인트

  • 일부 지점은 예탁금과 자유재정예금을 같은 '자유입출금'처럼 설명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 금리와 이자 방식은 완전히 다릅니다.
  • 비과세 종합저축 혜택이 가능한지,
    가입 대상인지도 반드시 확인하세요.

금고마다 금리는 다를 수 있으므로
지점별 자유재정예금 금리를 비교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결론: 예금도 구조를 아는 사람이 이자를 챙깁니다

예탁금과 자유재정예금은 ‘예금’이라는 같은 단어를 쓰지만,
그 쓰임과 수익 구조는 전혀 다릅니다.

생활비는 예탁금,
여유 자금은 자유재정예금.
이 단순한 구분만 잘해도
1년에 수십만 원의 이자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